Piano 유재연 / Violin 윤진리 / Viola 허 담 / Cello 하정원
2025. 8. 3(일) 오후 3시 금호아트홀 연세
주 최 : 예인예술기획
후 원 : 예원, 서울예고, 서울대, 연세대, 한예종, 미국 맨하탄 음대, 줄리어드 음대,
뉴욕 주립대, 메네스 음대, 보스턴대, 뉴욕 스토니브룩 주립대, 인디애나 음대 동문회
입장권 : 전석 20,000원 / 학생 10,000원
예매처 : 인터파크 https://tickets.interpark.com/goods/25008665
문 의 : 예인예술기획 02)586-0945
Piano / 유재연
피아니스트 유재연은 솔로 피아노 전공으로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였다. 학사 졸업 후 반주를 전문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한국예술종합학교 반주과 전문사과정에 입학하여 Artist Diploma를 취득하였다. 이후 도미하여 뉴욕 맨하탄 음대에서 반주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 맨하탄 음대 재학시절 그리스 출신 바이올리니스트 Regi Papa와 함께 Artur Balsam Duo Competition에서 우승하였으며, 주니어 차이코프스키콩쿠르, 오사카 국제음악콩쿠르, 서울 국제음악콩쿠르에서 공식 지정 반주자, 맨하탄 음대와 맨하탄 음대 예비학교에서 Staff Pianist로 일한 바 있으며, 정경화, Marrion Feldman, David Geber, Patinka Kopec, Lucie Robert, Michael Parloff, Linda Chesis 등의 Studio Pianist를 맡아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이화여자대학교, 목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Violin / 윤진리
바이올리니스트 윤진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원,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 후 도미하여 줄리어드 음악대학에서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뉴욕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 루마니아 수교 10주년 기념으로 루마니아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이외에도 영감과 열정 챔버 오케스트라, 뉴욕 클레식컬 심포니 오케스트라, 일산 심포니, 라퓨즈 플레이어스 등과 협연하였고, 아리랑 TV, FEVC TV, CGN TV 출연, 워싱턴 주미 대사관 초청 연주를 하였다. 또한 Starry Duo의 바이올리니트로서 뉴욕 링컨센터,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등 다양한 연주활동을 하였으며 음원 앨범 <Hymns and Passacaglia>, 디지털 앨범 <Starry Duo>를 발매하여 애플뮤직 등을 포함한 유명 플랫폼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현재 캐나다 ORMTA, RCM에 소속되어 있으며 Ontario Philharmonic Orchestra, Canadian Sinfonietta Chamber Orchestra 제1바이올린 단원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Avant Perpetual의 바이올리니스트로서 캐나다 피아니스트 Jacqueline C. Leung과 함께 활발히 활동 중이며 현재 1694년 프란세스코 루제리 바이올린을 소장하고 있다.
Viola / 허 담
허담은 뉴욕을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활동 중인 비올리스트이자 음악감독이다. 2007년 카네기홀 데뷔 이후 뉴욕 링컨센터, 홍콩 컬처센터, 도쿄 메트로폴리탄 아트 스페이스, 상하이 오리엔탈 아트센터, 베이징 포비든시티 콘서트홀, 타이페이 네셔널 콘서트홀, 스페인 사라고사 오디토리움, 유엔 본사, 영국 에딘버러, 독일 크론베르크, 벨기에 앤트워프, 프랑스 마르세유 챔버시리즈 등에서 연주했다. 그녀는 그래미 어워드를 9차례 수상한 에머슨 퀄텟, 뮤어 퀄텟, 요요마 실크로드 멤버들과 함께한 연주로 호평을 받았다. 최근에는 콜로라도 볼더대학교, 캔자스대, 센트럴 워싱턴대, 콜로라도 주립대, 센트럴 플로리다 주립대, 사우스 플로리다대, 플로리다 칼리지, 세인트 올라프 칼리지 등에서 마스터 클래스 및 리사이틀을 열었으며, 한국에서는 홍익대, 건국대, 안양대, 한남대, 연세대, 국민대 등에서 “음악이 우리를 문화적으로 연결하는 방법”, “사회에서 예술가의 역할과 기업가 정신”, “음악을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등의 주제로 강의했다. 2012년부터 Starry Duo의 비올리스트로 활동하며 두 장의 앨범을 발매했고,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영산아트홀, 금호아트홀 등에서 꾸준히 한국 관객과도 만나고 있다. 연세대, 뉴욕 메네스 음대, 보스턴대를 거쳐 뉴욕 주립대에서 장학생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Wagner College의 겸임교수이자 New York Artists Guild 음악감독으로 링컨센터 연 4회 콘서트를 기획하고 있다. 또한 Bergen Symphony Orchestra의 비올라 수석을 맡고 있으며, 2025년 뉴욕시 국제 음악 페스티벌의 예술감독으로도 활동 중이다.
Cello / 하정원
첼리스트 하정원은 앙상블의 조화로운 균형을 극대화 시켜 멜로디 라인을 사랑스럽게 만들어 내는 연주자로 평을 받은 바 있으며 (Rorianne Schrade, New York Concert Review), Indiana Univerisity Bloomington, Mannes College The New School For Music을 거쳐 Boston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인디애나 대학교 재학 당시 그는 Indiana Symphony Orchestra, Indiana Chamber Orchestra 수석을 역임, Camerata Orchestra의 단원으로서 활동하며, 인디애나 교수인 피아니스트 Edward Auer의 콘서트 시리즈에 매년 초청되어 실내악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뉴욕에서도 다수의 실내악과 독주회 무대를 가졌고, Romania Black Sea Symphony 협연, The American Protégé Competition에서 듀오 부분 1등으로 입상하여 Carnegie Hall에서 입상자 연주를 가졌다. 또한 Boston Chamber Symphony Orchestra, Boston Cello 단원으로 활동하였고, Boston Baroque Orchestra Project에서 바로크 첼로를 연주하며 원정 연주에 참여하였다. 현재 세종챔버뮤직소사이어티 대표로 활동 중이며,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교양학부 출강, 앙상블 MCMS의 리더로 활동 중이다.
# PROGRAM
L.v. Beethoven ... Piano Quartet No. 3 in C Major, WoO 36
F. Bridge ... Phantasy for Piano Quartet, H. 94
G. Fauré... Piano Quartet No. 1, Op. 15
[8월 15일] 오해랑 첼로 독주회 (2) | 2025.07.01 |
---|---|
[8월 8일] 한다현 귀국 색소폰 독주회 (3) | 2025.06.30 |
[조기예매 특가할인] 8/24(일) 오후 2시 예술의전당 IBK기업은행챔버홀 <제10회 플루트 앙상블 아디나 정기연주회> (0) | 2025.06.24 |
[8월 1일] 소프라노 강명주 귀국 독창회 (6) | 2025.06.20 |
[8월 5일] 박미리 & 박채원 피아노 조인트 리사이틀 (3)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