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9월 25일] 소프라노 백경원 독창회

지난공연

by 예인예술기획 2020. 9. 22. 11:06

본문

소프라노 백경원 독창회

Soprano Kyoungwon Paik Recital

한국가곡 100주년 기념 음악회 시리즈 II

"황금기 - 전쟁 그리고 삶의 노래

* 코로나19로 인해 무관중 실시간 중계를 통해 진행되는 공연입니다. *

 

2020. 8. 8(화) 오후 7:30 꿈의숲아트센터

주 최 : 예인예술기획

후 원 : 서울예고,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독일 함부르크 국립음대, 브레멘 국립음대 동문회

입장권 : 전석 20,000원 / 학생 10,000원

문 의 : 예인예술기획 02)586-0945

 

# Soprano 백경원

소프라노 백경원은 예원학교와 서울예술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독일로 건너가 함부르크 국립음대(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Hamburg), 브레멘 국립음대(Hochschule für Kunste Bremen)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전국학생음악인 경연대회에서 1위 없는 2위를 차지하며 탄탄한 기본기를 인정받은 그녀는 Micado Classic Music Competition 1위는 물론 함부르크 국립음대 재학시절 예휴디 메뉴인 재단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국내는 물론 독일에서까지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화려한 음색과 자신만의 음악적 해석으로 펼쳐지는 음악성으로 세계무대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소프라노 백경원은 F. Poulenc의 오페라 , C. Monteverdi의 오페라 , W.A. Mozart 오페라 , G. Bizet 오페라 아트홀)>, F. Schubert의 의 주역 및 솔리스트, 독일 라인스베르크시 초청 자선기금마련 음악회(Germany, Rheinsberg City Hall), 함부르크 인문대학 초청 바로크 실내악의 밤(Germany, Museum für Volkerkunde), 브레멘 미술대학 초청 실내악 페스티벌(Germany, Bremen), Yehudi Menuhin 장학재단 기념 음악회(Germany, St. Johannis Kirche), 리트 듀오 연주회 (Germany, Bremen Konzertsaal), 광복70주년 기념 재러시아 독립유가족을 위한 음악회(러시아) 등 국내와 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를 비롯한 수차례 독창회, HamburgerDom 오케스트라, 프라임필하모닉 오케스트라, KBS방송교향악단과의 협연, 오페라 주역으로 국내는 물론 유럽을 누비며 열정적인 연주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Daniel Ferro Vocal Program(Daniel Ferro, Jannis Haper-Smith), Forum Artium Master Class(Ingrid Kremling, Krisztina Laki), Gemma Bertagnolli(Baroque Music) Master Class, 4th Deutsche Liedakademie(Kehring, Bauni, Eisenlohr, Le Bozec, Nelson)에 참가하여 자신만의 음악세계 구축에 그 노력을 아끼지 않았으며, 귀국 후에도 이화 성악회와 슈베르트협회에서 활동하며 학구적인 자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보컬 프로젝트 그룹 PLAY C를 결성하여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한편, 삼육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서울예술고등학교에 출강하여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 PROGRAM

[1950년대]

윤용하          보리밭 1952

조 념            보리피리 1952

이호섭          국화 옆에서 1955

김대현          들국화 1958

 

[1960년대]

하대응         못잊어 1963

김규환         님이 오시는지 1966

장일남         비목 1967

이수인         고향의 노래 1968

 

[1970년대]

신귀복         얼굴 1970

김연준         무곡 1971

김규환         남촌 1975

백병동         자주구름 1976

 

[1980년대 이후]

김효근         눈 1981

임긍수         강 건너 봄이 오듯 1992

이원주         베틀노래 2009

윤학준         마중 2014

관련글 더보기